2020.05.22. 태창운수 휴업 철회! 버스 완전공영제 쟁취! 민주버스본부 강원지부 결의대회 > 지역 소식

지역 소식

2020.05.22. 태창운수 휴업 철회! 버스 완전공영제 쟁취! 민주버스본부 강원지부 결의대회

태창운수 휴업 철회! 버스 완전공영제 쟁취! 민주버스본부 강원지부 결의대회

- 2020.05.22. 금 16:30 원주시청 앞

버스업계 최초 4월 4일 전면 휴업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태창운수는 이번 휴업신고 과정에서 노동조합과 어떠한 협의도 하지 않았다태창운수의 노동자들은 하루 아침에 길바닥에 나앉게 되었다버스 노동자들의 생존권과 함께 원주시민의 이동권도 함께 무너졌다태창운수가 주로 운행하는 벽지적자노선의 주민들은 언제 올지 모르는 버스를 기다리며 하염없이 시내버스의 정상운행을 고대하고 있다

애초의 책임은 방만한 경영으로 회사를 파산 위기로 몰고 간 부도덕한 사측과 제대로된 감독 없이 사측의 불법적 경영을 방관만한 원주시이다. 그런데 현 휴업사태에 대해 원주시청은 임시방편식 대책만 수립하고 있다이 초유의 사태는 시내버스 민영제가 가지고 있었던 치명적 한계의 연장선임을 직시해야 한다. 시내버스는 시민들의 발이다특히 경제적신체적으로 자가용을 운용하기 어려운 아동학생노인들은 시내버스가 없으면 인간다운 삶이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때문에 시내버스 노선은 구석구석 닿아야 하고요금은 가난한 사람들도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는 요금이어야 한다하지만 현행 시내버스 민영제는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담보할 수 없다수익이 되지 않는다고 벽지 노선들이 감차·폐지되고 버스자본이 일방적으로 휴업을 해도 개입이 불가능한 지금의 민영제는 누구를 위한 민영제인가

우리는 요구한다. 원주시장은 책임지고 휴업사태 대책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 교통약자 이동권을 보장하고 버스노동자 고용을 보장하는 완전공영제를 실시해야 한다.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1_3599.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1_7631.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2_1582.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2_5766.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2_9607.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3_3844.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3_817.JPG
6d2b3eea817ec9f2a57e05cc04977320_1590544134_2325.JPG
 

[본부소식]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2025 추석 귀향길 선전전 진행

조회 29
넉넉한 기간으로 우리들의 몸과 마음을 가볍게 해주었던 추석 연휴 전,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4개 지역은 각 지역 주요 거점에서 민주노총을 알리고 노동조합 가입을 독려하는 <… 더보기

[본부소식] 강원 기후정의학교 무사히 마무리

조회 28
지난 10월 15일과 22일, 원주 남산골 문화센터에서는기후위기, 기후정의, 그리고 정의로운 전환까지 전면적으로 다룬강원 기후정의학교를 2회차까지 무사히 마쳤습니다!그동안 기후위기… 더보기

[특집기사] 왜 우리가 트럼프의 대미투자 요구에 반대해야 할까?

조회 45
왜 우리가 트럼프의 대미투자 요구에 반대해야 할까?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에 현금 3,500억 달러를 투자하라고 요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금액… 더보기

[원주소식] 네팔 이주노동자 사망 진상규명 촉구 기자회견 및 간담회

조회 35
지난 10월 26일, 원주시 소초면 돼지 농장에서 네팔 이주노동자가 산업재해사고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민주노총 원주지역지부는 이에 대응해 원주경찰서 앞에서 원주의 시민사회단체들과… 더보기

[특집기사] 기후위기, 두려움이 아닌 행동으로: 강원 기후정의학교와 함께

조회 285
기후위기, 두려움이 아닌 행동으로: 강원 기후정의학교와 함께 올해 강원은 유난히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한 한 해였습니다. 연초에 발생한 대규모 산불은 지역 주민의 삶터를 위협했고… 더보기
  •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 Category